1. ‘고기능 자폐’란?
고기능 자폐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중 지적 능력이 평균 이상인 경우를 일컫는 비공식적 용어야.
쉽게 말해, 언어를 사용하고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사회적 소통이나 행동 방식에서 자폐 특성을 보이는 경우를 의미해.
‘고기능 자폐’ 특징
• IQ 85 이상, 지능은 정상~높음
• 말은 유창하게 할 수 있지만, 대화의 맥락이나 감정 이해 어려움
•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말투나 행동
• 반복 행동, 특정 주제 과몰입
• 강한 루틴 고수, 변화에 민감
2. 일반 자폐 아동과의 차이점
구분 | 고기능 자폐 | 일반 자폐(중등도~중증) |
지능 | 정상~높음 | 평균 이하, 지적장애 동반 가능 |
언어 | 말 가능, 어색하지만 대화 가능 | 언어 지연 많음, 말 못하는 경우도 있음 |
일상생활 | 스스로 가능, 제한적 지원 | 대부분 지속적 지원 필요 |
학습 | 일반 학습 가능, 특화 분야 강점 있음 | 특수 교육 필요, 발달 수준 따라 차이 |
사회성 | 소통 가능하지만 눈치 없음, 공감 어려움 | 상호작용 자체 어려움, 관심 부족 |
3. ‘우영우’로 생긴 대표적 오해들
오해 ① 자폐는 다 똑똑하다?
→ 현실: 대부분의 자폐 아동은 지적장애 동반 가능성 높음
→ 우영우처럼 천재적 능력은 일부 사례일 뿐
오해 ② 자폐는 혼자 생활 가능하다?
→ 현실: 일상생활 전반에 지원이 필요한 경우 많음
→ 우영우는 예외적인 케이스, 일반 자폐 아동과 비교 어려움
오해 ③ 자폐는 이상한 말투, 행동만 있다?
→ 현실: 말 못하는 자폐 아동도 많고, 행동 특성도 매우 다양
→ 스펙트럼의 다양성 간과 위험
오해 ④ 자폐도 노력하면 사회생활 가능하다?
→ 현실: 사회성 훈련, 지원 없이는 매우 어려움
→ ‘의지’ 문제로 오해하면 부모와 아이 모두 상처받음
4. 왜 이 오해들이 위험할까?
• 고기능 자폐 기준으로 일반 자폐 아동을 평가하게 됨
→ “말도 못해? 우영우처럼 노력하면 되잖아” 식의 비현실적 기대 강요
→ 자폐 아동과 부모에게 부담 + 사회적 낙인
5. 제대로 된 이해 포인트
• 자폐는 지능과 무관하게 사회적 소통과 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뇌 특성
• 고기능 자폐는 일부 사례일 뿐, 대부분은 다양한 지원 필요
• 드라마는 자폐의 일부분만을 보여주는 창구 → 모든 자폐 아동의 기준으로 삼으면 안 됨
결론
‘고기능 자폐’라는 단어는 자폐의 다양성을 무시할 수 있는 위험한 표현일 수도 있어요.
자폐스펙트럼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느끼고 반응하는 아이들입니다.
우리는 드라마를 통해 관심을 가지되, 현실의 자폐 아동은 각자의 속도와 방식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1. 아이 발달·행동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은 잘하는데 어색한 우리 아이, 혹시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일까요?” (1) | 2025.03.26 |
---|---|
“왜 우리 아이는 작은 일에도 화를 내고 소리를 지를까요?”(체크리스트) (2) | 2025.03.25 |
“소리 지르고 울고 떼쓰는 우리 아이, 기질일까요? 발달 문제일까요?” (0) | 2025.03.25 |
말 느린 아이, 언어지연 얼마나 늦어지면 문제일까? 부모가 눈여겨봐야 할 징후와 치료법 (0) | 2025.03.24 |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초기증상 총정리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