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아이 정서·심리

“배가 자꾸 아픈 우리 아이, 혹시 스트레스 때문일까요?”

soulmedi 2025. 4. 4. 10:41

 

 
“아침만 되면 배가 아프다며 학교에 안 가려고 해요.”
“병원에선 괜찮다는데, 왜 계속 복통을 호소할까요?”
 
어릴 때 겪는 복통 중 일부는
**장기 이상이 아니라 마음에서 시작되는 ‘기능성 복통’**일 수 있어요.
특히 스트레스를 몸으로 표현하는 아이들은,
배 아픔을 통해 감정 신호를 보내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1. 스트레스를 받는 아이, 이렇게 다르게 표현해요

 
아이들은 감정을 말로 설명하기 어려울 때,
행동이나 신체 증상으로 표현합니다.
• 자꾸 배가 아프다고 함
• 먹기 싫다고 함
• 잠들기 어려워하거나, 악몽을 자주 꿈
• 짜증이 많아지고, 사소한 일에도 울음
• “학교 가기 싫어”라는 말이 반복됨
 
이런 신호들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기능성 복통이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어요.
 
저희 딸이 6,7세때 일이에요
먹은 것도 없는데 ,토할 것 같다고 아침부터 말을해서,
유치원을 가야하나 말아야 하나 하는중에, 
자기가 가보겠다고 괜찮을 것 같다고 해서 
유치원버스를 기다리고 있었어요.
기다리는 중에 갑자기 토를 하고 그날은 그렇게 유치원을 못가고 
병원을 갔다가 집에서 쉬었어요.
병원에서 들은건 그냥 체끼..
그런 일들이 자주종종 있었고, 우리 아이는 위가 약하구나,
먹으라고 강요하지 말아야겠다.  하고 있었죠..
그 시기에 자주종종 체하고, 토를 하는 일이 있었는데,
하루는 체끼도 없고, 토도 안하는데 가기싫다고 해서
앉혀놓고 유치원에서 무슨일이 있느냐 했더니,
친구와 트러블이 지속적으로 있었던 상황이었어요.
 
한 친구가 자기랑만 계속 놀기를 강요하고 있는 상황이었고,멋대로 하는 친구를 자기가 계속 받아주고 있던 상황이었죠.
 
이런식으로 스트레스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고 있는 상황이면복통으로 이어져, 크고작은 현상들이 일어나요.

 

2. 아이 스트레스, 경증과 중증으로 나누어 이해해보아요

 

구분경증 스트레스 반응중증 스트레스 반응
나타나는 증상일시적인 복통, 짜증, 집중력 저하반복되는 심한 복통, 수면장애, 등교 거부
지속 기간수일 내 사라짐수주 이상 지속
회복 경로휴식, 대화, 공감으로 완화전문가 상담 및 지속 관찰 필요
일상 기능 영향학습이나 식사 가능학교 생활, 대인관계 위축

 
 

3.이럴 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요?

 
① “몸”보다 “감정”에 먼저 반응해주세요
 
예:
“또 토할 것 같구나. 혹시 마음속에도 불편한 게 있었을까?”
“요즘 유치원에서 혹시 친구랑 힘든 일 있었니?”
→ 이렇게 감정-신체를 연결해주는 말을 자주 건네주세요.
 
이런 질문은 아이가
‘내가 왜 아픈지, 엄마는 감정까지 이해해주려 해’라는 심리적 안전감을 줍니다.
 

 
② 유치원을 꼭 가야 하나?의 기준을 바꿔보세요
• 컨디션보다 중요한 건 마음의 준비가 됐느냐예요.
• 토했지만 가겠다 → 컨트롤 가능한 불안
• 토도 없지만 “가고 싶지 않다” + 눈빛·표정이 힘들다 → 심리적 경고 신호
 
이럴 땐 “안 가도 돼”보다는
“오늘은 엄마랑 이야기하고, 네가 조금 더 편해진 다음에 가자”
같은 **‘조건부 휴식’**이 아이에게 선택의 힘을 주는 말이 돼요.
 

 
③ 친구 관계에 대한 자기 표현을 도와주세요
 
“친구가 너랑만 놀자고 했을 때, 네 마음은 어땠어?”
“그럴 땐 어떻게 말했어?”
“그 친구와 떨어지는 게 어렵게 느껴졌을까?”
 
→ 상황을 푸는 것보다 아이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게 돕는 게 핵심입니다.
 
필요하면 역할극 놀이나 감정카드를 이용해
“싫어도 거절할 수 있는 말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아요.
 

 
④ 앞으로 반복되지 않도록 “신호등 감정표” 도입
• **초록색 = 오늘은 컨디션 괜찮아요!
• 노란색 = 조금 불편하지만 시도해볼 수 있어요
• 빨간색 = 오늘은 힘들어요, 쉬고 싶어요**
 
매일 아침 아이가 자기 감정에 색을 붙이고,
그에 따라 학교 준비 여부를 결정하게 해보세요.
아이의 자기감각, 자기선택권을 키워주는 방법이 됩니다.
 

 
다음 포스팅엔 기능성 복통에 이어 , 예민한기질의 아이 hsp에 대해서 포스팅 해 볼께요!